정박효과(Anchoring Effect) 어떤 상황이나 사물의 가치를 판단할 때 뇌는 비교 대상을 찾는다. 하지만 적당히 비교할 만한 수치가 없을 경우 주어진 정보 내에서 제 멋대로 판단하게 된다. 이때 주어진 정보는 타당성 여부와 상관없이 일종의 닻(Anchor)으로 적용하여 판단 기준이 된다. 이러한 현상을 '정박효과(Anchoring Effect) 라고 한다. 어떤 투자자에게 있어 정박효과가 한 기업의 주가가 최고가에서 나타난느 것은 매우 위험하다. 10만원이었던 주식이 지금은 5만원이라고 하면 좋은 기회라고 생각되어 바로 달려들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그렇게 하면 안된다. 10만원이라는 숫자는 단지 정박하고 있는 닻에 불과하다. 급격한 주가 하락의 원인이 불투명한 산업 및 사업 전망이나 실적 ..
전망이론(Prospect theory) 사람들이 이득보다 손해에 더 민감하고, 사람들이 결정하는 이득과 손해는 기준, 환경마다 달리 평가 되며 이득과 손해 모두 효용이 체감적 관계를 갖는 것으로 가정하는 이론을 말한다. 대부분의 사람은 손실에 대해 매우 예민한, 손실를 꺼려하는 심리적인 요소를 가지고 있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것이다. A라는 주식을 100만원에 투자를 하였다. 이후 주식이 120만원으로 올랐다가 110만원에 거래가 되고 있다. 전통 경제학의 관점에서만 보면 매우 간단한 문제다. 주식을 팔았을 때 재산이 늘어나는지, 혹은 줄어드는지만을 보면 된다. 주식을 팔아 재산이 늘어난다면 팔면 되는 문제다. 그런데 투자를 하다 보면 그렇지가 않다. 심리학 관점에서 주식을 파는 사람의 심정을 보면..
베버-페히너의 법칙 촛불이 5개가 켜져 있을 때 1개를 더 켜면 밝기의 차이를 느낄 수 있지만, 100개가 켜져 있을 때 1개를 더 켜면 차이를 느끼지 못한다. 이처럼 감각으로 구별할 수 있는 한계는 물리적 양 대신 비율 관계에 따라 결정된다. 사람들은 물건을 살 때 1만원과 1만 5천원의 차이는 크게 느끼지만, 10만원과 10만 5천원의 차이는 별로 크게 느끼지 않는다. 비싼 물건을 구매한 후 다른 물건을 살 때 가격에 대한 부담을 적게 느끼는 이유가 바로 베버-페히너 법칙과 관련이 있는 것이다. 방금 최신 스마트폰을 100만원에 구입했다고 가정을 해보자. 그러면 액정 보호 필름이나 케이스를 사는데 1만원, 3만원의 돈은 비싸다는 느낌이 들지 않기 때문에 고민 없이 돈을 쓴다. 비슷한 실험이 또 있다...
매몰 비용의 오류(Sunk Cost Fallacy)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손해를 극히 싫어하고 헛수고를 하지 않으려고 한다. 즉, 손실 회피 심리가 강한것이 사람인 것이다. 버스 정류장에서 50분이나 버스를 기다렸는데 버스가 오지 않을 때 계속 기다려야 할지 걸어가야 할지, 아니면 택시를 타야 할지 고민해 본 사람이라면 매몰 비용의 오류가 무엇인지 바로 알 것이다. 50분이나 기다렸는데 기다리다가 택시를 탄다면 자기 자신이 틀렸음을 인정하는 것이 된다. 사람은 자신의 잘못을 인정하는 것을 싫어한다. 그리고 지금까지 기다리는 시간은 손실로 남는다. 사람은 이익보다 손실에 더 민감하다. 그래서 대부분은 정류장에 서서 버스가 오는것을 더 기다리게 된다. '조금만..조금만..' 하면서 말이다 그런데 투자자 관점에..
도박사의 오류(Gambler's Fallacy) 친구와 동전 던지기를 하여 앞 뒤를 맞추는 게임을 하고 있다. 그런데 계속해서 앞면이 여섯번이나 연속으로 나왔다. 그럼 다음과 같이 생각하기 마련이다. '세 번은 앞면, 세번은 뒷면이 나와야 정상인데 앞면이 여섯번 연속으로 나왔다면, 다음번에는 뒷면이 나와야지!' 그런데 이러한 생각은 사실 은연중에 우연을 예상 가능한 것으로 여기는것과 같다. 우연은 말그대로 예상 불가능한 여역인데도 말이다. 사실 각각의 동전 던지기 시도는 확률적으로 독립되어 있는데, 앞의 결과가 다음 시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착각하는 것을 '도박사의 오류'라고 한다. 종종 사람들은 이러한 도박사의 오류에 자주 빠진다. 우연이 반복적으로 일어나면 일정한 패턴이 있는것처럼 보이기 때문이다...
인지부조화 주식관련 컨텐츠는 주식 시장이 호황일 때 잘 팔릴까, 불황일 때 잘 팔릴까? 관련 기업들의 실적을 직접 살펴보면 알 수 있다. 바로 주식시장이 좋을 때 잘 팔린다. 사람들은 자신이 듣고 싶어 하는 내용만을 보고 듣는다. 자신이 보고 싶은 컨텐츠를 보며 자기 스스로가 자본 시장이 어떻게 돌아가는지를 잘 알고 있고, 앞으로 기업이, 시장이, 세상이 어떻게 될지를 잘 알고 있다고 믿는다. 개개인이 자본시장과 같은 환경을 통제할 수 없음에도 자신의 능력으로 통제하거나 예측할 수 있다고 믿는 것이다. 그런데, 자본 시장이 좋지 않으면 컨텐츠가 팔리지 않는다. 이상하지 않나? 오히려 위기일수록 좋은 컨텐츠가 더 필요할텐데... 그 이유는 바로 '인지 부조화'(Cognitive Dissonance) 때문이..
구글에 속해있는 자율주행 회사인 Waymo가 미국에서 처음으로 애리조나에서 로봇택시를 운영하게 되는 첫번째 사례가 되었음 Nuro 또한 캘리포니아에서 택배를 배송하는 자율주행 차량을 운행하고 있음 GM의 자율주행부서인 Cruise Automation과 웨이모는 최근 California Department of Motor Vehicles(캘리포니아주 자동차 운영과)에 운전자없이 자율주행차량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허가 신청서를 제출하였음. Waymo와 Cruise는 당장 자율주행 차량을 판매하지는 않을것으로 보임. 이들은 완전자율주행공유전기차를 통해(자율주행+전기차+공유) 교통혼잡을 줄이고 대기오염을 감소시키는 목표를 가지고 있다고 함. GM CEO인 Marry Barra는 3Z를 외치고 있는데 Zero..
전기차 침투율 1Q20 전 세계의 전기차 침투율은 약 13.3%. 20년 전기차 시장이 가장 많이 팔려진곳은 유럽으로 알려져 있으나 순수전기차 침투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여전히 중국.(유럽 5.8% vs 중국 7.3%) 미국의 BEV 침투율은 2.6% 수준 유럽과 미국은 전기차 내에서 여전히 PHEV의 비중이 높은편이며 중국만이 BEV 비중이 높은 상황. 전기차 모델 종류 현재 유럽에서 가장 비싼 전기차는 TESLA X로 약 9만6천유로. 같은 비교급군인 프리미엄 마켓에서 가장 저렴한 차량은 BMW i3인데 약 3만9천유로로 약 2.4배 차이. 이 두 모델의 배터리 사이즈 크기는 MODEL X 배터리 크기가 90kwh, i3 배터리크기가 38kwh로 약 2.3배 차이. 즉, 전기차 가격의 핵심은 배터리라..
세대간 갈등에서 읽는 사회의 변화 텐센트의 홍보담당 임원 장쥔이 5월 4일 중국 청년절, 웨이보에 글을 하나 올렸다가 젊은이들에게 욕을 한바가지 먹었다고 한다. "우리는 청년들에게 경의를 표시하기 위한 캠페인을 하느라 열심히 일하는데 정작 청년들은 잠들어 있다" 라는 짧은 글이다. 장쥔의 의도는 요즘 중국 청년들이 제대로 노력하지 않는다는 의미로 중국 청년들에게 받아들여졌고, 이에 분노한 청년들이 장쥔의 트위터에 달려들어 댓글 폭탄을 날렸다고 한다. 장쥔과 중국 청년들 모두 이해가 간다. 비단 중국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그리고 전 세계에서 벌어질 수 밖에 없는 일이기에 사실 이렇게라도 글을 적어본다 장쥔입장에서는 당연히 요즘 세대들이 만족스럽지 못할것이고, 요즘 세대들은 장쥔과 같은 윗세대들이 자신들을 ..
"우리가 아마존에서 하는 여러 가지 중요한 결정은 데이터를 통해 이루어집니다. 의사결정에는 정답과 오답이 있고, 더 나은 답과 더 나쁜 답이 있습니다. 수학은 우리에게 무엇을 선택해야 할지 알려줍니다. 이것이 바로 우리가 가장 선호하는 의사결정 방식입니다. 수학에 기초한 의사결정은 광범위한 동의를 이끌어내는 반면, 판단에 기초한 의사결정은 실행되고 증명되기 전까지는 종종 논란을 불러일으킵니다. 논란을 기피하는 조직은 판단을 반드시 유형 1 결정에 한정시켜야 합니다. 그러나 우리의 관점에서 볼 때 논란을 기피하는 것은 논의를 제한할 뿐만 아니라, 혁신과 장기적 가치 창출을 상당히 제한합니다." - 05년 레터 - "비즈니스에서 모험심은 효율적이지 않습니다. 하지만 무의미한 것도 아닙니다. 예감, 직감, 직..
높은 기준의 문화를 만드는 회사, 높은 기준을 스스로에게 세우는 개인은 지속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 했다고 생각합니다. 그러한 부분을 제프베조스가 잘 설명해준 것 같습니다. "높은 기준의 기준의 기업문화를 만드는 것은 노력할 가치가 있고 많은 장점이 있습니다. 가장 명백한 장점으 고객들에게 더 좋은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이것만으로도 충분한 이유가 됩니다! 약간 덜 명백한 장점은 사람들이 높은 기준에 이끌린다는 것입니다. 이는 우수한 직원을 채용하고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높은 기준의 기업문화가 갖고 있는 보다 미묘한 장점은 모든 회사에서 일어나는 '보이지 않지만' 중요한 일을 보호하는 것입니다. 아무도 보지 않는 일, 아무도 보지 않을 때 이루어지는 일, 이런 일을..
정말 뼈가 있고 중요한 말들이다. 간단하지만 너무 명확하다. 사업을 하는 사람들, 투자를 하는 사람들은 다음 아마존 리더십을 기억하면 도움이 될거라 생각한다. 사업을 하는 사람들을 행동하고, 투자를 하는 사람들은 이러한 창업가를 찾으면 된다. 독창성, 창의성, 특별함, 그리고 자신의 길을 가겠다는 의지.. 고객에 대한 집착 리더는 고객의 입장에서 생각하고 행동합니다. 리더는 고객의 신뢰를 얻고 유지하기 위해 열정적으로 일합니다. 리더는 경쟁사를 주시하지만, 고객을 가장 중시합니다. 주인의식 리더는 회사의 주인입니다. 리더는 장기적 관점에서 생각하며 단기적 결과를 위해 장기적 가치를 희생하지 않습니다. 리더는 자신의 팀뿐만 아니라 회사 전체를 위해 행동하며, 절대로 "그건 내 업무가 아닙니다."라고 말하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