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심확대 이유 - 알리바바 주가는 1) 마윈 사태 2) 중국 테크기업들에 대한 독점 방지 규제, 법 등으로 인하여 연초이후 지속 부진 - 현재 상황에서 핵심 비즈니스이자 캐시카우인 커머스 사업은 지속 빠르게 성장 중. (체크 사항은 21년 1분기 커머스 사업의 마진율 급감 이유) - 관심확대 이유는 매우 단순. 클라우드 비즈니스의 지속되는 고성장과 함께 작년 4분기 부터 이미 BEP를 돌파했기 때문 - 개인적으로 클라우드 사업은 향후 미래사회에 핵심이라고 생각하고 있으며 중국내에서 50%에 가까운 클라우드 점유율을 확보한 알리바바에게 많은 사업기회가 있을것이라고 생각 - 20년 4분기 클라우드 비즈니스는 처음으로 BEP를 돌파하였으며 외형기준으로는 커머스 사업부 대비 8% 수준까지 확대가 되었음. - 2..
비즈니스 상황은 어떠한가 - PGM(platinum group metals) 광산과 금 광산을 보유하고 운영 및 생산하는 기업 -20년 기준 PGM과 금을 포함하여 82 million ounces의 보존량이 있으며 2/3이가 South Africa에 있고 나머지는 미국에 있음 - 동사는 그 동안 PGM 가격이 낮을 때 PGM 광산들을 부채를 활용하여 지속 인수를 하였으며 최근 Rhodium 가격 상승에 따라 결론적으로 성공적인 결과를 만들게 되었음 - 금속 가격 상승에 따라 20년 동사 실적은 역대 최고를 기록. 20년 매출액과 EBITDA는 각각 $7.7bn, $3bn을 기록하며 '19년 대비 각각 75%, 230% 증가. 순이익은 $1.9bn을 기록하며 7,000% 성장하였으며 이에 순현금 상태가 되..
버크셔해서웨이에게 2020년은 실망이 가득한 한 해였습니다. 주가는 S&P500대비 2년 연속 언더퍼폼하였으며 버핏이 CEO로 재임한 55년 중에서 최악의 2년 중 하나가 되었습니다. 버크셔해서웨이는 20년에 주식을 순매도 하였습니다. 즉, 주식을 산것보다 판것이 더 많았고, 그 규모는 거의 $6bn에 달합니다. 코로나가 한창이던 4월 항공사 주식의 비중을 대폭 줄였고, 또한 골드만삭스와 JP 모건, 그리고 오래 보유하던 웰스파고 마저도 지금 현재 거래되고 있는 가격보다 낮은 가격에 매도를 하였습니다. 그렇다보니 수익률이 좋지 않은것은 당연할 것입니다. 반면, 버핏이 올해 가장 많이 산 주식이 있습니다. 바로 버크셔해서웨이 입니다. 즉, 자사주를 가장 많이 산 것이지요. 3Q20까지 버크셔해서웨이는 총 ..
우버에게 2020년은 아쉬움 반, 기대감 반이 섞여있는 한해였습니다. 여행 및 출장수요의 감소로 모빌리티 사업의 수익은 좋지 않았지만, 음식 배달 사업은 빠르게 성장을 했기 때문입니다. 3Q20 모빌리티의 매출은 전년 동기대비 51% 감소하였고, 음식 배달 사업은 전년 동기대비 124% 성장하였습니다. 우버를 한 번 살펴볼만한 이유는 도어대쉬(DoorDash)가 상장했기 때문입니다. 현재 DoorDash에 대한 미국 투자자들의 기대감은 매우 큽니다. 좋게 표현하면 기대감이 큰것이고, 나쁘게 표현하면 밸류에이션이 매우 높게 평가되어있다고 볼 수 있겠지요. DoorDash는 현재 22년 매출액 대비 약 11배에 거래되고 있습니다. (2021이 아닙니다) 반면, Uber는 22년 매출액 대비 약 4배에 거래되..
다양한 상위권 게임을 개발한 23년 업력의 검증된 게임 개발회사, 조룡오락은 모바일 MMORPG 게임 개발에 주력하고 있는 회사로, 1997년에 설립. 2017~2019년 회사가 개발한 4개의 게임이 중국 모바일게임 순위 20위 안에 진입하였었음. 대표작은 몽환주선(梦幻诛仙), 천공기원(天空纪元), 만왕지왕(万王之王 3D), 용족환상(龙族幻想), 어검정연(御剑情缘) 등이 있음. 중국 개발사중 5위, MMORPG 내에서는 3위 기업. 고급화 전략, 훌륭한 개발팀을 바탕으로 이익 성장을 실현할 것 조룡오락은 중국 게임회사 중 기술력이 앞선 회사로 이 부분이 경쟁력임. 회사 전체 인력 중 개발자 인원수는 871명으로 이는 회사 전체 인력의 85% 를 넘는 수준. 2017~2019년 매출액 대비 연구개발비 비중..
중국인민은행이 어제 알리바바가 금융지주회사 형태로 바뀌어야 할것이라고 밝혔습니다. 현재는 금융당국에 의한 감독이 금융회사처럼 이루어지고 있지는 않지만, 이렇게 되면 이제 금융당국의 제재와 감독을 받게 되는것입니다. 만약 그렇게 되지 않으면, 핀테크 사업을 축소시키고 단순 결제 비즈니스만 진행을 하게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시장에서 논의되고 있던 앤트파이낸셜의 밸류는 $250~350bn 정도였는데, 만약 핀테크 사업을 철수하게 되면 밸류는 $150bn 선까지 내려와야 된다고 보는게 맞을것 같습니다. 어떤 방향이 되었건, 앤트파이낸셜의 밸류는 과거 기대값보다 내려오는것이 맞을것 같습니다. 만약 금융회사로 간다면, 어쨌든 직접 자기자본을 어느정도 태워야 하고 이에 따라 성장률과 ROE가 하락할 수 밖에 없기 때..
라이브커머스 고속 성장 중, 연간 이익 흑자 기대 회사는 예상 결산 실적을 발표, 2020년 지배주주순이익이 0.2~0.3억 위안을 예상하며 4분기 이익은 1.33~1.43억 위안을 예상한다고 발표. 본 애널리스트는 4Q20 네트워크 기반의 이익은 약 2억 위안을 예상하며 이익창출능력에 대한 검증은 끝났다고 판단. 현재 주요 품목은 여자 신발에서 발생하고 있는 상황 라이브커머스 사업의 Flywheel Effect가 선명해진 상황이며 이에 흑자 전환이 시작되는 시점. 회사는 라이브커머스 운영 방식을 지속하면서, 4분기 GMV가 질과 양면에서 모두 성장하며 2억 위안의 훌륭한 실적을 달성할 것으로 예상 됨. 회사가 발표한 예상 실적과 3분기 보고서를 검토한 내용을 바탕으로 살펴보면, 회사 GMV는 올해 40..
알리바바에 대한 우려를 보면서 알리바바 주식이 중국의 반독점 규제와 조사 발표가 나오면서 급락을 한 상황입니다. 언론에 알려진 내용에 따르면 티몰에 입점한 판매상들에게 경쟁사인 징동닷컴(JD.COM)이나 핀두어두어(Pinduoduo)에서는 판매하지 못하도록 했던점을 지목하고 있다고 합니다. 몇몇 투자기관들은 알리바바가 빠르게 반등할것이라고 하였으나, 추가적인 급락이 있었습니다. 이는 중국 금융당국이 "안티파이낸셜은 금융관련 전문성이 떨어지고 소비자들에 대한 책임은 전혀 지지 않는다" 라는 코멘트가 있었기 때문입니다. 이에 국내에서 해외 주식을 커버하는 모든 기관투자자들이 알리바바에 대한 부정적인 의견을 내놓고 있는 상황입니다. 지금은 피해가자. 불확실성이 크다 라는 이유에서 입니다. 저는 반대로 생각합니..
전자상거래의 빠른 성장의 수혜를 보는 중, 지속적인 성장 기대 회사는 11월 실적을 발표, 11월 택배 사업부의 실적은 153.75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대비 31.11% 성장. 택배건수는 9억건을 돌파하였으며 전년 동기대비 59.515 성장. 1~11월 회사의 누적 매출액은 1,361.37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대비 37.43% 성장. 건수기준으로는 72.68억건으로 전년 동기대비 71.15% 성장. 이는 전자상거래의 빠른 성장 때문 1H20 택배 처리건수는 80%이상 성장하고 있으며, 4Q20 십일절이 있는 11월에는 59.51% 성장을 하였으며 이는 시장평균대비 23%p 높은 수치임. 11월 11일 회사가 처리한 택배건수는 전월 일평균 처리건수보다 2.5배 많았는데, 이중 84.4%가 알리바바의 성장 ..
중국 화장품 1위 대리상 기업(릴리앤뷰티, Lily & Beauty) 2010년 설립하여 티몰 등 소매채널을 위주로 성장. 주요 고객사는 글로벌 화장품 브랜드로 로레알(18년부터 점진적으로 합작을 줄이고는 있음), 헨켈, 아모레퍼시픽 등이며 19년 말까지 60개 브랜드를 고객사로 보유하고 있음. '17년 전까지는 고성장을 하였으나, 18년부터 성장 속도가 줄었는데, 주요 원인은 로레알, 상해가화 등 고객사와의 합작이 종결되고 있기 때문. 동종업계와 비교해보면, 수익성은 평균 정도. 그러나 소매 채널 위주로 현금흐름은 좋음. 2020년 10월 4,001백만주를 공개 발행하며 신규상장하였음. 4.2억 위안은 브랜드 확장에 투자, 1.98억 위안은 판매 채널에 투자, 그리고 데이터센터 및 정보시스템 투자, C..
중국 분유 시장점유율 1위 기업 중국비학은 중국 분유 시장에서 점유율 1위 기업. 3Q20까지 점유율 17.2%를 기록하고 있음. 1H20 기준 고가와 초고가 제품의 매출비중이 77.8%를 차지, 이중 초고가제품과 유기농 제품이 60%를 차지하고 있으며 지속 상승하고 있음 지속적으로 시장점유율 확대중, 시장잠재력은 여전히 풍부 분유 시장에서 새로운 분유 제품이 등록되는 속도가 느려짐에따라 중국산 분유브랜드들의 제품 등록 점유율이 높아지고 있음. 코로나로 인해 외국 브랜드 제품의 신규 등록이 매우 느리기 때문. 분유제품의 특성을 고려하면, 상위 제품들에 대한 집중도가 높아지는 것은 필연적임. 해외 선진국과 비교해 보면, 미국은 상위 3개사의 점유율이 90%지만, 중국은 34% 수준으로 아직도 상위 업체들의..
새로운 미술학원 인수로 신규 성장동력 확보 화하시청교육은 수목원이라는 미술학원의 지분 100%를 3억위안에 인수하였다고 공시. 공시내용에 따르면 수목원의 21년과 22년 순이익은 각각 2천4백만 위안, 2천7백60만위안으로 예상되며 이는 P/E 12.5배, 10.9배 수준. 수목원은 베이징과 항저우 등에서 6개 지점에서 미술교육 서비스를 영위중에 있음. 북경지역에서 유명한 미술학원 중 하나이며 칭화대 미술학과 합격자를 가장 많이 배출하고 있음. 현재 3,100명의 학생과 300명의 교사가 있음. 경영진에 따르면, 21년 4월전에 거래가 완료될것이라고 하며, 다음과 같은 시너지 효과를 가지게 될 것이라고 함. 1) 해당산업내 전국으로의 지역 확장 2) 취학 전 교육 산업에서 고등미술교육영역까지 포트폴리오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