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분할 - 인적분할
- 투자/주식기초용어 및 기초기업분석
- 2020. 11. 5.
기업분할 - 인적분할
요즘 그러고 보니 '분할'에 관한 이슈가 요즘 만큼 있었던적은 없었던 것 가습니다. 그 만큼, 투자에 대한 관심도가 많이 늘었기 때문인 것 같습니다. LG화학 분할, SKT 분할 등이 대표적인것 같고요. 그런데 가만 보면 "좋은건가요?" "나쁜건가요?" 이렇게 물어보시는분들이 많은 것 같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이 기업분할, 물적분할과 인적분할에 대해서 적어보도록 하겠습니다 .
인적분할이란
분할을 하면 무언가 나누는것 같은 생각이 드시죠? 네 맞습니다 그 분할이 맞아요. 기업도 나눈다는 것이지요. 그런데 앞에 인적이라는 단어와 같이 부어 '인적분할'이 뭐지? 라는 생각이 드실거에요
예를 들어서 설명드릴게요.
삼성전자에는 대표적으로 1) 반도체 사업부 2) 휴대폰 사업부 3) 디스플레이 사업부 로 나뉘어 있다고 볼게요. 즉, 삼성전자라는 하나의 회사(법인)아래에 위 3가지 사업부가 있는것이지요. 그런데 삼성전자가 인적분할을 발표했다고 가정을 해볼게요. 어떻게? 바로 1) 반도체 사업부 2) 휴대폰 사업부 3) 디스플레이 사업부를 3.3:3.3:3.3:대 비율로 각각 인적분할을 하겠다라고요. 그리고 각각의 회사이름을 1) 삼성 반도체 2) 삼성 휴대폰 3) 삼성 디스플레이 이렇게 하기로 했다고 가정을 합니다.
즉, 기존 삼성이라는 하나의 회사에 속해있었던 자산들을 3개의 법인으로(삼성 반도체, 삼성 휴대폰, 삼성 디스플레이) 나누게 되는 것입니다. 그럼 기존에 주주들은 어떻게 될까요?
기존 주주들은 새로 생기는 법인을 똑같이 주주로서 남아있게 됩니다. 예를 들어 삼성전자에 지분 10%를 가지고 있었다면(실제로 삼성전자 10% 지분을 가진 사람은 없습니다...ㅎㅎ), 삼성 반도체 회사에도 10%, 삼성 휴대폰 회사에도 10%, 삼성 디스플레이 회사에도 10%를 가지게 되는것입니다.
간략하게 도식화 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그럼 다시 질문으로 돌아가볼게요
인적분할이 좋은거냐고요? 안좋은거냐고요?
"인적분할 그 자체로는 사실 좋고 나쁘고가 없습니다." 응? 그런데 왜 하나요 인적분할을?
보통은 다음의 이유가 대부분입니다.
1) 인적분할을 통한 기업가치 제고라는 목적
기존에는 하나의 법인에서 다양한 부서가 있다보니 회사의 진짜 경쟁력이 무엇인지 애매모호 해질때가 있습니다. 이러한 점을 탈피하기 위해서 인적분할을 하는것이지요. 과거에는 A사업부는 잘했는데 B사업부가 못해서 회사 실적이 안좋았는데, A와 B를 나누게 되면 A도 하나의 법인이 되어 이제 A사업의 실적으로만 평가를 할 수 있고 B도 마찬가지가 되는것이지요. 즉, 경영 효율화를 위해 분할을 하게 되는 것입니다.
2) 인적분할을 통한 지주사 전환, 그리고 이를 통한 지배구조 개편
이 부분은..다음에 아에 글로 나누어서 하겠습니다.
3) 인적분할을 통한 숨겨진 기업가치의 발견
이 부분도..다음에 아에 글로 나누어서 하겠습니다..
너무 내용이 길어질수도 있고, 그리고 좀 더 중요한 부분일수도 있고..무엇보다 내용이 어려워질수도 있습니다. 지금 글은 기초, 쉽게 가는것이 목적이어서요.
혹시나 이해가 안가시거나 궁금한게 있으신게 있으시면 무엇이든 물어봐주세요. 감사합니다.
'투자 > 주식기초용어 및 기초기업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상증자에 관하여 2편 (0) | 2020.11.22 |
---|---|
무상증자에 관하여 (0) | 2020.11.22 |
유상증자의 목적 (0) | 2020.11.22 |
인적분할과 지주사 전환(feat 자사주의 마법) (0) | 2020.11.11 |
유상증자와 유상증자의 종류 (2) | 2020.11.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