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용측면에서의 경쟁 우위 경쟁력을 가지기 위한 한 가지 가장 단순하면서도 강력한것은 바로 경쟁사가 도저히 따라 할 수 없을 정도로 저렴한 비용 구조를 확보하는 것입니다. 그럼 이 저렴한 비용 구조는 어떻게 확보할 수 있을까요? 1) 원자재 비용(원가비용)이 낮거나 2) 독점 기술(특허 등)을 확실하게 가지고 있으면 가능할 것입니다. 2)의 특허에 근거한 경쟁우위는 약 17년 동안 '상황적 경쟁우위'를 확보하는 것입니다. (요즘 시대에 17년이면 매우 긴 시간이긴 하지만요) 제조 공정이 복잡한 산업, 즉 대부분의 제조업에서는 학습과 경험이 비용 절감의 주요 원천일 것입니다. 에를 들어 화학과 반도체 산업 분야에서는 시간이 지날수록 상품에 결함이 생길 확률이 크게 떨어지지요. 즉, 수율이 높아지는것이고 이는..
경쟁우위, 경제적 해자, 경쟁력의 요소 다양한 것들이 많겠지만, 차근차근 생각이 날때마다 하나씩 정리해 나가려고 합니다. 사업은 경쟁우위를 만들어 나가면 이기는 것이고, 투자는 경쟁우위를 찾고 좋은 가격에 투자하면 이기는 것입니다. 결국 이 두 영역에서의 관건은 '경재우위, 경제적 해자, 경쟁력'의 정의라고 생각합니다. 누구는 경쟁우위를 제대로 해석해서 이기고, 누구는 잘못해석해서 순간만 즐기게 되거나 즐기지도 못하는 것이지요. 그 동안 당연하게 머리로 생각하던 것을 억지로 기록을 해보려 합니다. 우연찮게라도 이 글을 보시고 반대 생각이나, 또 좋은 생각이 있으시면 꼭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1. 습관 어떠한 사람들에게 습관을 만든 어떠한 서비스나 브랜드, 상품은 경쟁력이 있다고 볼 수 있을 것 같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