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적분할과 지주사 전환(feat 자사주의 마법) 인적분할과 물적분할에 대해 이제는 좀 더 아셨을거라 생각합니다. 혹시 "인적분할, 자사주의 마법" 이라는 표현은 들어보셨나요? 아니면 "A 기업, 인적분할 후 지주사 전환" 이라는 표현은 보신적 있으실까요? 오늘은 바로 이 인적분할과 지주사 전환에 관하여 글을 적어 보려고 합니다. 이벤트 드리븐 전략(Event driven)의 대표적인 투자 방법중 하나가 되는것이기도 합니다. 사실, 예전만큼 잘 먹히고 있지는 않지만요. 각설하고 바로 본론으로 들어가겠습니다. 1. A라는 회사가 있습니다. 그리고 A라는 회사의 최대주주는 '인진짜' 로 A 회사의 지분을 30% 소유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A회사의 자기주식(자사주는) 20% 입니다. 2. A 회사는 자신의 회사..
기업분할 - 인적분할 요즘 그러고 보니 '분할'에 관한 이슈가 요즘 만큼 있었던적은 없었던 것 가습니다. 그 만큼, 투자에 대한 관심도가 많이 늘었기 때문인 것 같습니다. LG화학 분할, SKT 분할 등이 대표적인것 같고요. 그런데 가만 보면 "좋은건가요?" "나쁜건가요?" 이렇게 물어보시는분들이 많은 것 같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이 기업분할, 물적분할과 인적분할에 대해서 적어보도록 하겠습니다 . 인적분할이란 분할을 하면 무언가 나누는것 같은 생각이 드시죠? 네 맞습니다 그 분할이 맞아요. 기업도 나눈다는 것이지요. 그런데 앞에 인적이라는 단어와 같이 부어 '인적분할'이 뭐지? 라는 생각이 드실거에요 예를 들어서 설명드릴게요. 삼성전자에는 대표적으로 1) 반도체 사업부 2) 휴대폰 사업부 3) 디스플레이..